본문 바로가기
IT, 생활정보

제습기 전기요금 어느정도 나올까?

by #^%&*&^ 2025. 5. 25.

장마철과 여름철, 실내 습도 관리의 필수템으로 자리 잡은 제습기. 하지만 제습기를 구입하거나 사용하려는 분들이 가장 많이 걱정하는 부분이 바로 제습기 전기요금입니다. 전기요금 걱정 없이 쾌적한 여름을 보내고 싶은 분이라면 끝까지 읽어주세요.

 

 

 

제습기 전기요금 어느정도 나올까? 

 

제습기 전기요금 어느정도 나올까? 제습기를 보며 궁금해 하는 모습

 

 

 

2025년 기준, 가정용 전기요금은 3단계 누진제로 구분됩니다.

구분 사용량 (kWh) 전기요금 단가 (원/kWh)
1단계 0~200 93.3
2단계 201~400 187.9
3단계 401 이상 280.6

 

 

제습기 전기세는 아래 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 전기요금(원) = (소비전력(W) ÷ 1000) × 사용시간(시간) × 전기요금 단가(원/kWh)

 

예를 들어, 300W(0.3kW) 제습기를 하루 8시간, 한 달(30일) 사용한다면, 

  • 총 사용전력 : 0.3 × 8 × 30 = 72kWh
  • 1단계 요금 적용 시: 72 × 93.3 ≈ 6,717원
  • 2단계 구간에 일부 포함될 경우, 평균 단가로 120~140원/kWh를 적용하면 8,000~10,000원 수준이 됩니다.

 

 

 

제습기 용량별, 등급별 전기세 비교

 

1단계 전기요금 기준으로, 하루 8시간 사용 시 월 전기요금은 어느정도 될까요?

구분 소비전력 (W) 하루 8시간 사용 시
월 전기세 (1단계 기준)
소형 200 약 4,500원
중형 300~400 약 6,700~9,000원
대형 500 이상 약 11,000원 이상

 

  • 소형 제습기(200W)는 하루 8시간 사용해도 한 달 약 4,000~5,000원대
  • 중형(300~400W)는 약 7,000~9,000원대
  • 대형(500W 이상)은 1만 원을 넘어갑니다.

 

에너지효율 1등급 제품은 같은 제습량에서도 소비전력이 더 낮아, 실제 전기세 부담이 2~4등급 제품보다 20~30% 적을 수 있습니다.

에너지효율 등급정보 보러가기

 

 

 

하루 종일(24시간) 켰을 때 전기세 계산

 

만약 300W 제습기를 24시간 내내 한 달 동안 가동한다면, 총 사용전력은 216kWh(0.3kW × 24시간 × 30일)이고, 1단계(0~200kWh) 초과분은 2단계 요금이 적용됩니다.

 

  • 200kWh까지(1단계) : 18,660원
  • 16kWh(2단계) : 약 3,006원
  • 합계 : 약 21,666원(부가세, 전력기반기금 별도)

 

즉, 하루 종일 틀면 한 달 전기세가 2만 원을 넘을 수 있으며, 대형 제품은 이보다 더 높아집니다.

 

 

 

이렇게, 제습기 전기요금 계산을 통해 어느정도 나올 수 있는지 예상해 보았습니다. 물론 다른 제품과의 누진세 영향이나 기타 사용 방법에 따라 전력 효율이 다르게 나올 수는 있지만, 실내 건강과 쾌적함, 곰팡이 예방 효과를 생각하면 제습기 사용에 대한 전기세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비용입니다.

 

다만, 장시간 사용하거나 대형 제품을 선택할 때는 에너지 등급을 꼭 확인하셔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저 역시 곰팡이 방지를 위해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1등급 인버터 제품을 사용하면서 전기요금 부담을 줄이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이유없이 진동이 계속될 때, 내가 해결한 방법 후기

갑자기 스마트폰에서 이유 없이 진동이 계속 울린다면? 오늘은 스마트폰 진동 문제와 해결 과정을 담은 후기를 들려드리려 합니다. 스마트폰 이유없이 진동이 계속될 때, 내가 해결한 방법 후기

por101.tistory.com

 

 

자동차세 연납 카드할인 무이자할부 간편결제 혜택!

매년 초, 차량 소유자라면 꼭 떠올리게 되는 비용이 있죠? 바로 자동차세입니다. 자동차세는 1월에 연납으로 한 번에 납부하면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어 많은 분들이 이용하고 있는데요. 여기에

por101.tistory.com